이 표준은 IEC TS 62351-4:2007[1] )에 기반한 구현과의 상호운용성을 제공하는 호환성 모드를 지정하고 고유 모드라고 하는 확장 기능을 지정하여 IEC TS 62351-4:2007의 범위를 확장한다. 이 표준은 전송 계층과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보안 요구사항을 규정한다. IEC TS 62351-4:2007은 주로 제조 메시지 명세(MMS)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결과정(handshake) 동안 인증을 위해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일부 제한된 지원을 제공했지만, 이 표준은 연결과정 단계와 데이터 전송 단계 모두에 대해 확장된 무결성 및 인증에 대한 지원을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공유 키 관리와 데이터 전송 암호화를 제공하고 중간 개체가 0개 이상인 종단 간(E2E) 보안을 제공한다. IEC TS 62351-4:2007은 MMS 기반 시스템, 즉 개방형 시스템 간 상호연동(OSI) 프로토콜 스택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지원만 제공하지만 이 표준은 다른 프로토콜 스택[예: 인터넷 프로토콜 모음(4.1 참조)]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에 대한 지원도 제공한다. 이 지원은 XML 인코딩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보호하도록 확장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이 확장된 보안을 E2E 보안이라고 한다. 이 표준은 E2E 보안 외에도 보안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환경 프로토콜에 대한 매핑도 제공한다. 현재 OSI 및 XMPP 환경만 고려된다. 이 표준은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예: MMS)을 안전한 방식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는 표준의 부를 참조되도록 의도되었다. 구현, 특히 T-프로파일 및 A-보안-프로파일의 IEC TS 62351-4:2007 명세에 의존하는 제어 센터 간 통신 프로토콜(ICCP) 구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IEC TS 62351-4:2007의 명세는 이 표준에 포함된다. 이러한 명세를 지원하는 구현은 IEC TS 62351-4:2007에 기반한 구현과 연동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