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표준은 폭발성 분진 분위기가 조성되거나 가연성 분진이 쌓일 수 있는 곳에서의 폭발 위험장소 구분을 규정하며, 폭발 위험장소에서 적절한 점화원을 평가하기 위한 표준이다.이 표준에서 폭발성 분진 분위기와 가연성 분진층을 별도로 다룬다. 4.에서는 폭발성 분진운 및 누출원으로서의 분진층에 대한 폭발 위험장소 구분이 다뤄지고, 7.에서는 분진층의 발화위험을 다룬다.이 표준 내의 예시들은 플랜트 내에서 분진층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지관리가 효과적으로 시행되는 시스템을 기준으로 하였다.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시행되지 않는 곳에서는 분진층으로부터 분진운이 발생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폭발 위험장소를 구분한다.이 표준은 가연성 섬유나 부유물로 인한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이 표준은 정상 대기압 조건하에서 폭발성 분진 분위기와 가연성 분진층으로 인한 위험이 상존할 수 있는 장소에 적용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이 표준은 다음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지하 광산― 혼합물(hybrid mixture)로 인한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곳― 연소를 위해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폭발물의 분진이나 자연발화성 물질― 이 표준에서 다루는 비정상상태의 범주를 벗어나는 파국적 고장(비고 1 참조)― 분진으로부터 인화성 또는 독성가스의 발생으로 인한 위험이 표준은 화재나 폭발의 결과로 일어나는 손상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