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표준은 전력 계통에 연결되어 있는 대용량의 비선형 부하에 대한 전력공급 승인조건을 결정하는데 기초로 한다. 또한 이 표준의 기본 목적은 전력을 공급받는 모든 수용가에게 적절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 지침이다.이 표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침은 많은 변수에 대해 간략화하였기 때문에 항상 모든 고조파 문제에 최적의 해답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주어진 평가 절차에 의해 전부 또는 일부를 적용하되 유연성 있는 기술적 판단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비선형 부하의 설치에 관한 최종 결정 권한은 항상 전력 회사에 있다.고조파에 관련되는 문제는 다음 두 가지 범주로 구분된다.― 고조파 전류는 컨버터와 다른 고조파원에 의해 전력 계통으로 주입된다. 고조파 전류와 이로 인한 고조파 전압은 장해 현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표준의 목적은 실제 전력 계통에서 민감한 기기에 고조파 전압이 역효과를 초래하지 않는 적절한 레벨(적합성 레벨)로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고조파 전압은 고조파 전류와 임피던스에 의해 발생되기 때문에 계통에 유입되는 고조파 전류의 제한을 수반한다.― 50 kHz∼5 kHz의 고조파 전류는 통신 시스템에 간섭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고차의 고조파에서 두드러지는데, 이는 회로상에서 증가되는 결합과 가청 주파수 범위에서 통신 기기가 높은 민감성을 가지기 때문이다.이 표준은 고조파 전압의 제한 및 고조파 전압이 주는 영향에 중점을 두고 있어서 통신 장해에 관련된 조항은 포함하지 않았다.배전에 사용되는 고압 계통은 “계획 레벨”(3. 참조)로 주어지며, 중압(MV)과 고압(HV) 사이의 값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