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규격은 암호기술적 프로토콜과 알고리즘에서 요구하는 소수생성과 소수성 판정법에 대해서 설명 하고 있다. 첫 번째로 이 규격은 주어진 수가 소수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방법을 명시한다. 이 규격에서 설명 하는 소수성 판정법은 두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차확률이 작은 확률론적(probabilistic) 소수성 판정법. 이 규격에 기술된 모든 확률론적 판정법은 합성수를 소수라고 할 수도 있고, 소수를 합성수라고 할 수도 있다. 올바른 판정을 보장하는 결정론적(deterministic) 방법. 이러한 방법은 소수성 인증서(primality certificate)를 사용한다. 두 번째로 이 규격은 소수생성에 대해서 명시한다. 여기서도 확률론적 방법과 결정론적 방법이 있다. 비고 알고리즘 이론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다면, 확률론적 알고리즘과 결정론적 알고리즘에 대해서 사전에 학습했을지도 모른다. 이 규격의 결정론적 방법도 역시 내부적으로 랜덤 비트를 사용 한다는 것이 강조된다. 그리고 “결정적인”이라는 것은 단지 출력이 확률 1로 정확하다는 사실 을 뜻하는 것이다. 비고 알고리즘 이론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다면, 확률론적 알고리즘과 결정론적 알고리즘에 대해서 사전에 학습했을지도 모른다. 이 규격의 결정론적 방법도 역시 내부적으로 랜덤 비트를 사용 한다는 것이 강조된다. 그리고 “결정적인”이라는 것은 단지 출력이 확률 1로 정확하다는 사실 을 뜻하는 것이다. 부속서 B는 특정의 암호기술적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소수생성 방법에 대해서 기 술한다. 이 규격에서 정의하는 소수생성, 증명, 검증 방법은 소수의 특성에 기반한 암호기술적 시스템에 응 용이 가능하다. 비고 이 규격에서 설명하고 있는 판정법의 명세는 되도록 간단한 방법으로 소수판정이 가능하도록 그 속성을 정의하고 있다. 이 명세를 따르는 것이 직접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구현을 반드시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특히 Frobenius-Grantham 소수성 판정법의 경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