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표준(Technical Specification)은 보건의료정보학 분야에서 공통의 건강지표 개념적 구조를 구축하였다. 이 표준은 공통의 용어와 다음과 같은 구조의 개념적 정의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a) 국민의 건강과 보건의료 체계의 성과를 기술하기 위해 필요한 적절한 영역과 하부 영역을 규정한다.b) 보건의료 체계의 다양성을 수용할 정도로 충분히 광범위해야(상위 수준이어야) 한다.c) 보건의료 결과(outcome), 보건의료 체계 성과와 이용, 지역과 국가에 따른 변이와 관련된 모든 요인을 포함하도록 광범위해야 한다.비고 1 이 구조의 기초가 되는 근본적 원리에 대한 더 많은 논의는 부속서 B를 참조한다.비고 2 많은 국가가 이미 건강지표의 수집과 분석을 관리, 감독하기 위해 그들 고유의 모델을 개발하였다. 국가 차원의 보고를 목적으로 이들 기존의 구조가 변화되지는 않을 것이다. 오히려이 구조는 기존의 구조를 보완할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건강지표 구조가 단지 보건의료 체계의 성과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여기에서 제안된 포괄적인 접근법은 현재 사용되는 모델을 확장 또는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비고 3 개별 관할 구역에서 서로 다른 개념상의 구조를 운용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개념적 차원이상위 수준의 분류 체계를 나타내며 이것은 개별 국가가 지표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재량권과 여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위 수준 분류 체계에 초점을 두는 것은 또한 새로운 현안이 나타나고 추가적인 자료가 이용 가능해서 미래에 새로운 지표를 포함하고자 할 때 충분한 융통성을 허용한다. 구체적인 자료 요소는 정의되지 않기 때문에 관할 구역 자신의 상황에 따라 가장 적절하고 이용 가능한 지표를 가지고 이 구조를 적용할 자유가 있다.이 표준에서는 건강지표 개념을 위한 개별 지표 또는 세부 자료 요소를 규명하거나 기술하지는 않는다. 다음의 단계로 건강지표 개념 구조에 포함될 수 있는 실제 지표의 메타 자료, 또는 특성과 공통속성을 다루는 작업 항목을 제안하였다.벤치마크의 정의 및/또는 벤치마크의 정의에 사용된 접근법은 이 표준의 영역 밖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