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시스템을 위한 보안 구조들의 규격은 개방형 시스템 환경에서 보안 서비스들의 응용을 가리킨다. “개방형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데이터베이스, 분 산 응용, 개방형 분산 처리, OSI와 같은 영역을 포함 한다. 보안 구조는 시스템이 가지는 객체들과 시스템 들을 위한 보호, 시스템간의 상호 작용 등을 제공하 는 방법의 정의와 관련이 있다. 보안 구조는 설계하 는 시스템과 메커니즘들을 위한 방법론과는 관련이 없다. 보안 구조는 데이터 요소들과 특정한 보안 서비스들 을 포함하는 연산들의 순서(통신 규약의 구성 요소 는 아님)들을 가리킨다. 이러한 보안 서비스들은 시 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와 시스템간에서 교환되 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의사 소통하는 시스템들의 개 체들에 적용해도 된다. 이 규격은 -인증을 위한 기본 개념을 정의한다. -인증 메커니즘들의 가능한 등급을 식별한다.-인 증 메커니즘의 등급들에 대한 서비스들을 정의한다. -인증 메커니즘의 등급들을 지원하는 통신 규약을 위한 기능 요구 사항을 식별한다. -인증을 위한 일반적인 관리 요구 사항들을 식별한 다. 많은 다른 형태의 규격들은 다음을 포함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1) 인증의 개념을 포함하는 규격 2)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규격 3) 인증 서비스를 사용하는 규격 4) 개방형 시스템 구조에서 인증을 제공하는 방법들을 명시하는 규격 5) 인증 메커니즘들을 명 시하는 규격 [서비스 2), 3), 4)는 인증을 포함해도 되지만 다른 주요 목적을 가져도 된다는 것에 유의] 이러한 규격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사용할 수 있다. * 규격 1), 2), 3), 4), 5)는 이 구조의 전문 용어 를 사용할 수 있다. * 규격 2), 3), 4), 5)는 이 구조의 7.에서 정의된 서비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 규격 5)는 이 구조의 8.에서 정의된 메커니즘들에 기초를 둘 수 있다. 다른 보안 서비스들처럼, 인증은 단지 개개의 응용 을 위한 정의된 보안 정책의 문맥 안에서 제공될 수 있다. 보안 정책들의 정의들은 이 ITU 규격의 적용 범위 외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