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를 통한 전류의 통전경로에 대하여 사람에 대한 위험은 주로 전류의 크기와 통전시간에 좌우된다. 그러나 다음 절에 명기된 시간/전류영역은 대부분의 경우 감전에 대한 보호수단을 설계하는 데에실제 적으로 직접 적용할 수 없다. 필요한 기준은 시간함수로서의 접촉전압(즉, 접촉전류로 표기되는 인체 를 통과하는 전류와 인체 임피던스의 곱)의 허용한계이다. 전류와 전압 사이의 관계는 인체의 임피던스 가 접촉전압에 따라 달라지므로 선형적이지 않으며, 따라서 이 관계에 대한 자료가 요구된다. 인체의 여러 부분(피부, 혈액, 근육, 다른 조직과 관절 등)은 전류에 대해 저항성분과 커패시턴스 성분 으로 구성된 임피던스로 나타난다. 인체 임피던스의 값은 수많은 인자에 따라 달라지는 데 특히, 통전경로, 주파수, 접촉전압, 통전시간,피 부의 습기 정도, 접촉면적, 가해진 압력, 온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 기술규격에 나타난 임피던스 값들은 주로 사체나 일부 생체에 대해 실시한 측정으로부터 유용한 실 험 결과의 상세 조사 결과 나온 것들이다. 교류전류에 의한 영향에 대한 지식은 주로 전기설비에서 가장 보편적인 50 Hz 또는 60 Hz의 주파수 전 류의 영향과 관련된 연구결과에 근거한다. 주어진 값은 15 Hz부터 100 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범위에서의 한계치는 50 Hz나 60 Hz에서의 한계치 보다 높다. 원리적으로 심실세동 의 위험은 치명적인 전기사고에 의한 사망의 주요 요소로 고려된다. 직류에 의한 사고는 직류의 이용 정도로부터 예측할 수 있는 것 보다 훨씬 빈도가 낮으며, 치명적인 전 기사고는 광산에서와 같은 매우 열악한 환경에서만 발생한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직류에서는 교류에서 보다 움켜진 부분의 이탈이 덜 어렵고 심장주기보다 더 장시간의 감전 기간에 대하여 심실세동 한계 전 류가 교류의 경우보다 상당히 높다는 사실 때문이다.